-
Permanent 펌 이론모발과학 2023. 8. 9. 14:26반응형
퍼머넌트 반응론
단백질의 변형을 유도하는 시술반응 전체를 의미한다
환원재와 알칼리성ph반응을 기본으로 한다
1제 1펩타이드 본드(화학적으로 터치하지 않는 결합)
펌 1제는 펩타이드 결합에 영향을 주는 물질은 없다.
2이온본드(카르복실기,아미노기)
nh3+ 1액 (수산이온OH-up) 마이너스로 전환
모노 에탄올 아민 분자사이즈가 크고 무거워 잔류한다(1제의 잔류율은 모발손상이큼)
(아민계알칼리 중에서도 모노에탄올 아민의 가장 많이 사용되고있으며 아민은 암모니아와 달리 휘발하지않는 알칼리이기 때문에 자극취가 없다.두피나 모발에 잔류하기 쉬우므로 깨끗히 씻는것이 중요함)
naoh(수산화나트륨,rktjdtek))이온력의 반발로 팽윤
시스테인 본드(황함유 아미노산의 전자공유결합)
환원물질 반응(환원제)
치오;분자량 사이즈가 작아 환원력을 크게한다
시스테인 산화되면 불용화물질이 됨(시스틴화치오로 제거))
시스테아민,hcl 시스테인 시스테인의 딘점을 보완,혹은 산성화한 환원제*전체 모발중 시스틴= 16.8%이고 이중 30% 약4.8~5.4% 만을 반응시켜 펌을 한다.
열펌의 경우 50%
하이드로겐 본드(수소 결합능력 극대화)
수분으로 계,폐가 이루어짐으로 열펌시 중요한결합
손상모일수록 높지않은 온도로 오랫동안 뜸을들여주는이유
12%의수분을 꼭 남겨주어야한다 꼭 등전점을 만들어주어야한다(ph,함수율 결정)
이온,수소결합의 거리엔 인력이 작용한다
2열 퍼머넌트반응
열펌은 단백질내 펩타이드 체인의 유동성을 높여 단백질의 2차 결합을 증가시키는 시술.
(펩타이드 체인의 유동성:p.chain이 따로논다=연화(늘어남)분자 이동을 높인다 =결합력 증대(H.N.O수소결합)
수소결합을 위해서는 물질운동이 필요하다.
태어날때 누구나 아미노산의 량은 정해져있어 시스틴본드의 결합력에는 개개인의 한계가 있지만 원소 사이의 결합을 뜻하는 수소결합은 정해져있지않다
2제
1 이온본드
pa산성용액(4.5~5.5)의 ph로 이온결합강화
과수 2.5~2.8
브롬산 나트륨 5.3~5.8
(펩타이드 결합이 안좋은 모발은 별도의 페하 조정제 필요
2시스틴본드
산화반응(O) h2o(과수) 브롬산 나트륨 산소를 공급해주고 수소를 빼앗는다
너무많은 H를 뺏겨버리면 보습력이 사라져 건조해진다.
2제의 작용으로발열반응이 과하게 일어나면 아미노산의 수소까지 뺏겨버린다
3하이드로겐 본드
12%의수분을 꼭 남겨주어야한다 꼭 등전점을 만들어주어야한다(ph,함수율 결정)
이온,수소결합의 거리엔 인력이 작용한다
2열 퍼머넌트반응
열펌은 단백질내 펩타이드 체인의 유동성을 높여 단백질의 2차 결합을 증가시키는 시술.
(펩타이드 체인의 유동성:p.chain이 따로논다=연화(늘어남)분자 이동을 높인다 =결합력 증대(H.N.O수소결합)
수소결합을 위해서는 물질운동이 필요하다.
태어날때 누구나 아미노산의 량은 정해져있어 시스틴본드의 결합력에는 개개인의 한계가 있지만 원소 사이의 결합을 뜻하는 수소결합은 정해져있지않아 인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개체수 증가)
원리
1화학 에너지(약품)
2물리적에너지:분자와 분자간의 거리(밀도의 차이)
연화과정후 더 곱슬거리게 된 곱슬모의 경우 안쪽 바깥쪽 밀도가 다르므로 바깥쪽 분자가 더 많이 움직여 더 곱슬거리게 된다 물리적 작용으로 비슷한환경을 만들어주어야한다
3열 에너지(분자의 진동)
모발이 뜨거움(아미노산의 진동으로 열이 발생)
액체에서 기체화하며 분자간의 인력(붙잡는 힘)이 없어짐
아미노산에 필요이상의 열을 주면 원소를 하나씩 하나씩 잃어버린다.
연기로 보여짐,냄새와
100도가 넘어가면 분자간의 인력이 약해 간격이 커지게 된다
140도 =모발 실제전달에너지 120도 정도
자유수=100도 이상에서 물은 분자 인력저하로 기체화된다
흡착수=100도에 반응하는 물+물질 (H2O가 붙어있을 수 있다
(PPT 케라틴 과 같은 아미노산 베이스 물질)
110~115도에 흡착수는 증발 시작한다
*H2O 극성력으로 단백질을 녹이는 유일한 물질 PH7반응형'모발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탈색-빨리하자는 생각을 버리자 (0) 2023.08.02 초급디자이너는 탈색이무서워요 (0) 2023.08.01 컬러이론-보색과 반사빛 (0) 2023.07.28 컬러이론-기초편 (2) 2023.07.27 펌제에 대하여~환원제의 종류와 기능 (0) 2023.07.25